맨위로가기

서호급 호위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호급 호위함은 쌍동선체 설계를 적용한 실험적인 성격의 함선이다. 1980년 나진 조선소에서 기공되어 1983년경 준공되었으며, 함 번호는 823번이다. 헬기 운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나, 해상 공시에서 결함이 발견되어 취역 후 거의 운용되지 못하고 2009년 중반에 스크랩 처리되었다. 동해함대에 소속되었으며, 기술적 문제로 인해 성공적인 운용에는 이르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해군 함정 - 조선인민군 해군
    조선인민군 해군은 1946년 6월 5일 창설되어 동해함대와 서해함대로 나뉘어 연안 방어 및 특수작전부대 침투 지원 임무를 수행하며 김정은 시대에 전술핵 탑재 시도와 함께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해군 함정 - 상어급 잠수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해군이 운용하는 소형 잠수함인 상어급 잠수함은 연안 초계 및 공작원 침투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강릉 무장공비 침투 사건으로 나포된 함선이 전시되어 있고, 개량형인 상어-II도 개발되었다.
  • 호위함 함급 - 인천급 호위함
    인천급 호위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호위함으로, 대잠 및 대공 능력 강화를 위해 개발되었으며, 국산 장비를 탑재하고 스텔스 설계를 적용하여 127mm 함포, 팰렁스 CIWS, 해성 대함 미사일 등을 탑재한다.
  • 호위함 함급 - 울산급 호위함
    자주국방을 목표로 대한민국 해군이 건조한 울산급 호위함은 총 9척이 배치되었으며 함포를 주 무장으로 하였으나 하푼 함대함 미사일을 추가 탑재했고 일부는 퇴역하여 박물관으로, 일부는 현재도 운용 중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에 관한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에 관한 - 김정일
    김정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2대 최고지도자로, 김일성 사망 후 권력을 승계하여 조선로동당 총비서 및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통치하며 3대 세습, 핵무기 개발, 남북 정상회담 등의 사건과 경제난, 인권 탄압 등의 문제를 겪은 인물이다.
서호급 호위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개요
서호급 호위함 이미지
서호급 호위함
함급서호급 호위함
함종프리깃함
건조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이후 함급압록급 초계함
제원
배수량1,640톤 (만재)
길이73.8m
15.5m
흘수3.8m
속력23노트
승조원190명
무장
미사일CSS-N-2 함대함 미사일 4기
함포100mm/56 구경장 1문
대공포37mm/63 구경장 4문 (2연장 2문)
25mm/60 구경장 4문 (2연장 2문)
대잠 무기RBU 1200 5연장 고정 발사기 2기
탐지 장비
레이더표면 탐색 - Square Tie
사격 통제 - Drum Tilt
소나Stag horn sonar; 선체 장착 능동 탐색/공격
전자전중국 RW-23 Jug Pair (ESM)
항공 전력
항공기Mil Mi-4 1대 (2000–2007년 탑재)
항공 시설중형 헬리콥터 착륙 플랫폼, 격납고 없음
기타
설계 특징쌍동선 설계; 선수에서 선미까지 이어지는 연속 갑판
함급 함선실험함 - 1척만 건조, 함번 823
건조 기간1980년-1982년
취역 기간1982년–2009년
퇴역1척
건조 조선소나진 조선소

2. 구조

서호급은 쌍동선체를 적용한 실험적 성격이 강한 함선이다. 쌍동선체의 넓은 선폭을 활용해 함 뒷쪽에 넓은 헬리콥터 데크를 만들어 헬기 운용을 가능케 했다. 하지만 후속함의 건조가 계속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그리 성공적이지는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함정 번호는 823이다. 전체적인 사진이나 영상 자료가 매우 부족하여 정확한 형태는 알 수 없다.

3. 건조 및 배치

1980년에 나진 조선소에서 기공했다. 1983년경에 준공되었으며, 함 번호 "제823호"의 명칭이 부여된 것으로 알려졌다. 나진 조선소에서 건조된 것으로 보아 동해함대에 소속된 것으로 추정된다.

3. 1. 동해함대 소속 함정

1972년에 진수되어 1973년에 배치된 나진급 531번함과 1980년에 진수되어 1983년에 배치된 것으로 추정되는 서호급 823번함이 동해함대에 소속되어 있다.

4. 운용 및 평가

서호급은 준공 후 실시된 해상 공시(公試)에서 중대한 결함이 발견된 것으로 추정되며, 공시 후 나진항에 3년간 계류되었다. 취역 후에도 거의 항해하지 못하고 퇴역하여, 2009년 중반에 스크랩 처리되었다는 보고가 있다.[3] 쌍동선체와 헬기 운용 능력 등 참신한 설계를 시도했으나, 기술적 문제로 인해 성공적인 운용에는 이르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참조

[1] 서적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Combat Fleets of the World: Their Ships
[2] 웹사이트 New North Korean Helicopter Frigates Spotted https://www.38north.[...] 2014-05-15
[3] 웹사이트 New North Korean Helicopter Frigates Spotted https://www.38nort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